영상
성경 본문
출애굽기 20:16
16.
네 이웃에 대하여 거짓 증거하지 말라
출애굽기 8:44
44.
너희는 너희 아비 마귀에게서 났으니 너희 아비의 욕심대로 너희도 행하고자 하느니라 그는 처음부터 살인한 자요 진리가 그 속에 없으므로 진리에 서지 못하고 거짓을 말할 때마다 제 것으로 말하나니 이는 그가 거짓말쟁이요 거짓의 아비가 되었음이라
출애굽기 23:2,3
2.
다수를 따라 악을 행하지 말며 송사에 다수를 따라 부당한 증언을 하지 말며
3.
가난한 자의 송사라고 해서 편벽되이 두둔하지 말지니라
마태복음 7:15
15.
거짓 선지자들을 삼가라 양의 옷을 입고 너희에게 나아오나 속에는 노략질하는 이리라
마태복음 5:33
33.
또 옛 사람에게 말한 바 헛 맹세를 하지 말고 네 맹세한 것을 주께 지키라 하였다는 것을 너희가 들었으나
34.
나는 너희에게 이르노니 도무지 맹세하지 말지니 하늘로도 하지 말라 이는 하나님의 보좌임이요
설교 요약
말의 영향력과 거짓 증거의 심각성
결혼 주례자의 선언, 의사의 선고, 법관의 판결처럼 말은 단순한 소리가 아니라 실제 상황을 변화시키는 힘을 지닌다. 성경에서 “네 이웃에 대하여 거짓 증거하지 말라”는 명령은 단지 거짓말을 금지하는 것이 아니라, 법정에서 이웃에게 불리한 위증을 하지 말라는 구체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 고대 사회에서는 2~3명의 증언이 결정적 증거가 되곤 했고, 그로 인해 거짓 증언은 타인의 평판, 생명, 공동체 안에서의 자리까지 송두리째 파괴하는 무서운 결과를 낳았다. 예수님 또한 거짓 증언의 희생자가 되셨다. 바리새인들은 사탄에게서 비롯된 거짓말을 통해, 무고한 예수님을 십자가 형벌로 몰아넣었다.
성경이 경고하는 거짓의 다양한 모습
성경은 곳곳에서 거짓말을 삼가라고 말한다. 출애굽기 23장 23절은 가난한 자에 대한 동정이나 다수의 여론에 휩쓸려 불공정한 증언을 하지 말라고 경고한다. 이는 선한 의도처럼 보일 수 있는 연민조차 진실을 왜곡하는 거짓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반대로 마태복음 7장 15절은 이익을 위해 거짓의 외양을 취하는 자들을 조심하라고 말한다. 양의 옷을 입은 늑대처럼, 거짓은 종종 아름답고 선한 모습 뒤에 숨는다. 또한 마태복음 5장 33,34절은 하나님을 걸고 맹세하며 자신의 결백을 증명하려는 행위마저 경계한다. 인간의 한계와 불완전성을 인정하고, 언제든 진실과 거짓이 뒤바뀔 수 있음을 기억하라는 의미다.
거짓에 물든 인간의 마음
사람의 마음은 음욕, 시기, 탐욕에 흔들리며, 이를 숨기고자 거짓말을 쉽게 한다. 우리의 마음은 마귀의 거짓, 세상의 거짓, 그리고 스스로 좋아하는 거짓이 서로 얽혀 진실을 흐린다. 이러한 거짓은 가정, 교회, 정치, 사회 모든 영역에 스며들어 공동체를 무너뜨린다. 거짓은 결국 서로를 불신하게 만들고, 진실한 관계를 해친다. 그렇다면 이러한 상황 속에서 그리스도인은 어떠한 길을 걸어야 할까?
진실을 향한 변화의 길
먼저, ‘내가 거짓을 좋아하는 존재’라는 사실을 깨닫는 솔직한 고백이 필요하다. 다윗이 “정직한 영을 새롭게 하소서”라고 고백했던 것처럼, 진실한 자기 성찰이 회복의 출발점이 된다. 인간은 성령의 인도하심 없이는 자기중심적인 태도를 버리지 못한다. 성령의 충만함이 임할 때, 비로소 예수님의 눈과 마음으로 세상을 바라보게 된다. 이것이 진실을 향한 첫걸음이다.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제9계명은 “네 이웃에게 거짓 증거하지 말라”고 강조한다. 이는 단순히 남을 해치지 말라는 소극적 명령이 아니라, 공동체 안에서 정직하게 행하라는 적극적 요청이다. 자기 부인을 통해 진실이 드러나면, 교회는 세상의 빛과 소금으로 설 수 있다. 거짓을 멀리하고 진실을 택하는 길은 그리스도인의 명예를 높이고, 교회와 공동체를 회복시키는 중요한 열쇠가 된다.
소그룹 나눔 질문
질문
1.
“이웃에 대하여”라는 표현이 강조하는 점은 무엇일까요?
2.
비판, 아첨, 또는 선동적인 말이 공동체에 미치는 부정적인 결과를 예로 들어봅시다.
3.
출애굽기 20장 16절의 말씀은 개인적인 삶을 넘어 공동체적인 책임을 강조합니다. 이를 우리의 삶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