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성경 본문
야고보서 5:13-20
13.
너희 중에 고난 당하는 자가 있느냐 그는 기도할 것이요 즐거워하는 자가 있느냐 그는 찬송할지니라
14.
너희 중에 병든 자가 있느냐 그는 교회의 장로들을 청할 것이요 그들은 주의 이름으로 기름을 바르며 그를 위하여 기도할지니라
15.
믿음의 기도는 병든 자를 구원하리니 주께서 그를 일으키시리라 혹시 죄를 범하였을지라도 사하심을 받으리라
16.
그러므로 너희 죄를 서로 고백하며 병이 낫기를 위하여 서로 기도하라 의인의 간구는 역사하는 힘이 큼이니라
17.
엘리야는 우리와 성정이 같은 사람이로되 그가 비가 오지 않기를 간절히 기도한즉 삼 년 육 개월 동안 땅에 비가 오지 아니하고
18.
다시 기도하니 하늘이 비를 주고 땅이 열매를 맺었느니라
19.
내 형제들아 너희 중에 미혹되어 진리를 떠난 자를 누가 돌아서게 하면
20.
너희가 알 것은 죄인을 미혹된 길에서 돌아서게 하는 자가 그의 영혼을 사망에서 구원할 것이며 허다한 죄를 덮을 것임이라
설교 요약
들어가는 말
야고보서의 마지막 권면은 “기도하라”는 요청으로 마무리됩니다. 이 말씀은 단순한 개인의 경건을 위한 명령이 아니라, 고난과 질병, 기쁨과 범죄, 방황과 회복이라는 교회 공동체의 다양한 현실 속에서 모든 성도들이 마땅히 붙들어야 할 신앙의 태도입니다. 야고보는 고난 중에 있는 자는 기도하고, 기쁜 자는 찬송하며, 병든 자는 장로를 청하여 기도받고, 죄를 고백하며 서로를 위해 기도하라고 말합니다. 이처럼 기도는 공동체의 중심에 있는 하나님과의 만남이며, 지체들을 품는 사랑의 실천입니다.
기도로 인내하라
야고보서 전반은 가난하고 고통받는 성도들이 악인의 형통함을 보며 위축되고 낙심할 때, 그럼에도 인내하며 기도할 것을 강조합니다. 하나님은 썩지 않고 쇠하지 않는 ‘그 나라’를 예비하고 계시며, 성도는 위로부터 난 지혜를 구함으로 그날까지 인내하는 삶을 살아야 합니다. 특별히 병든 자를 위해 장로들이 기름을 바르고 기도하는 것은 공동체 전체가 그의 아픔을 함께 짊어지는 상징이며, 오늘날 교회도 이와 같이 연약한 자를 돌보며 기도로 함께해야 함을 말합니다.
기도는 감정을 치유하는 통로이기도 합니다. 공동체 안의 분열, 상처, 불만의 뿌리는 대부분 감정의 충돌에서 시작되며, 기도는 이러한 상한 감정을 하나님의 시선으로 보게 하며, 형제의 고통에 동참하는 공감의 길로 인도합니다. 기도는 억울함을 토로하는 자리이자, 하나님의 마음을 깨닫는 자리이며, 그 과정에서 우리 자신도 변화되며 용서와 회복의 길로 나아가게 됩니다.
야고보는 또한 진리를 떠난 자를 돌아오게 하는 사명을 강조합니다. 복음에서 벗어난 이들을 위해 울며 기도하고, 사랑으로 권면하는 자는 그의 영혼을 사망에서 구원하는 자요, 허다한 죄를 덮는 자라 말합니다. 교회는 진리의 울타리 안에 서로를 세우고, 이탈한 영혼을 끝까지 붙들어야 합니다.
기도가 하나님 사랑, 이웃 사랑이다.
결국 야고보가 기도를 마지막 권면으로 남긴 이유는, 기도야말로 하나님의 마음을 알고, 교회를 진정으로 사랑하며, 형제를 품는 유일한 길이기 때문입니다. 기도는 감정을 녹이고, 공동체를 회복시키며, 하나님의 긍휼을 경험하게 합니다. 그러므로 교회는 무엇보다 기도의 자리에 다시 서야 합니다. 기도 없는 교회는 숨을 잃지만, 기도하는 교회는 다시 살아납니다. 고난 중에도, 기쁨 가운데에도, 질병과 회복, 심지어 떠난 자를 향해서도 기도함으로, 교회는 다시 하나 되어 하나님 나라를 향해 나아갑니다.
소그룹 나눔 질문
주제: 『 그날까지 기도로 인내하라 』 (약 5:13-20)
1. 말씀 나누기
•
야고보는 서신의 마지막 권면으로 “기도하라”고 말합니다. 왜 기도를 야고보는 마지막에, 그리고 서신서 전반에 강하게 요청했을까요?
•
본문에서 '장로들이 병든 자를 위해 기도하고 기름을 바르라'는 명령은 오늘날 교회 공동체 안에서 어떻게 적용될 수 있을까요?
2. 삶 나눔
•
기도를 통해 형제의 고통이나 감정을 공감했던 경험이 있다면 나눠봅시다.
•
이번 주에 함께 중보할 사람이나 가정을 구체적으로 정하고, 기도 제목을 적어 함께 기도합시다.
하나님, 우리가 말만 하는 교회가 아니라, 기도하는 교회가 되게 하소서. 고통 중에 있는 지체들을 우리가 함께 울며 기도하게 하소서. 떠난 자들을 다시 품고, 상처를 덮고, 사랑으로 회복되게 하소서. 우리 교회가 기도를 통해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고, 궁극적으로 교회를 사랑하게 하소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