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 소개
home

염려의 시대를 넘어: 침묵, 순종, 기쁨

영상

성경 본문

마태복음 6:24-34
24.
한 사람이 두 주인을 섬기지 못할 것이니 혹 이를 미워하고 저를 사랑하거나 혹 이를 중히 여기고 저를 경히 여김이라 너희가 하나님과 재물을 겸하여 섬기지 못하느니라
25.
그러므로 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목숨을 위하여 무엇을 먹을까 무엇을 마실까 몸을 위하여 무엇을 입을까 염려하지 말라 목숨이 음식보다 중하지 아니하며 몸이 의복보다 중하지 아니하냐
26.
공중의 새를 보라 심지도 않고 거두지도 않고 창고에 모아들이지도 아니하되 너희 하늘 아버지께서 기르시나니 너희는 이것들보다 귀하지 아니하냐
27.
너희 중에 누가 염려함으로 그 키를 한 자라도 더할 수 있겠느냐
28.
또 너희가 어찌 의복을 위하여 염려하느냐 들의 백합화가 어떻게 자라는가 생각하여 보라 수고도 아니하고 길쌈도 아니하느니라
29.
그러나 내가 너희에게 말하노니 솔로몬의 모든 영광으로도 입은 것이 이 꽃 하나만 같이 못하였느니라
30.
오늘 있다가 내일 아궁이에 던져지는 들풀도 하나님이 이렇게 입히시거든 하물며 너희일까보냐 믿음이 작은 자들아
31.
그러므로 염려하여 이르기를 무엇을 먹을까 무엇을 마실까 무엇을 입을까 하지 말라
32.
이는 다 이방인들이 구하는 것이라 너희 하늘 아버지께서 이 모든 것이 너희에게 있어야 할 줄을 아시느니라
33.
그런즉 너희는 먼저 그의 나라와 그의 의를 구하라 그리하면 이 모든 것을 너희에게 더하시리라
34.
그러므로 내일 일을 위하여 염려하지 말라 내일 일은 내일이 염려할 것이요 한 날의 괴로움은 그 날로 족하니라

설교 요약

들어가는 말

염려의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늘 불안감에 시달리며 더 많은 소유와 성취를 통해 안식을 찾으려 합니다. 그러나 마태복음 6장 24-34절은 이러한 염려를 뛰어넘는 진정한 그리스도인의 삶을 제시합니다. 이 설교문은 쇠렌 키르케고르의 『들의 백합과 공중의 새』를 바탕으로 염려 없는 삶의 세 가지 열쇠인 침묵, 순종, 기쁨을 깊이 탐구합니다.

침묵: 진정한 기도의 시작

침묵은 우리가 두 주인을 섬길 수 없는 이유와 연결됩니다. 예수님께서는 하나님과 재물을 겸하여 섬길 수 없다고 단호하게 말씀하셨습니다. 이는 우리의 마음과 삶이 하나님과 다른 어떤 것(돈, 건강, 자녀, 성공 등)을 동시에 섬길 수 없다는 의미입니다.
키르케고르는 "인간은 두 마음을 품을 수 없으니, 만일 품는다면 그는 죽음이다"라고 언급하며, 이 시대를 '소음의 시대'로 진단합니다. 스마트폰 알림, 미디어, SNS 등 끊임없는 외부 소음 속에서 우리는 자신과의 대화와 하나님과의 대화를 잃어버렸으며 , 영혼은 파편화되고 있습니다. 키르케고르는 이러한 소음으로부터 물러나 오직 한 주인을 향해 정렬되기 위한 '내면의 공간'을 만드는 행위가 바로 '침묵'이라고 말합니다. 이 침묵 속에서 우리는 "나의 주인은 누구인가?"라는 질문에 정직하게 답해야 합니다. 키르케고르는 "여호와를 경외하는 것이 지혜의 근본이라면, 침묵은 여호와를 두려워하는 것의 시작"이라고 말하며 , 침묵이 진정한 기도의 시작이며, 지혜의 시작임을 강조합니다. 인간의 말이 아닌 침묵을 통해 초월자이신 하나님의 말씀을 듣는 자가 되어야 하며 , 그 침묵 속에서 "주님 말씀 하소서. 당신의 나라와 '의'만을 원합니다"라고 고백할 수 있게 됩니다.

순종: 진정한 자유

순종은 들의 백합과 공중의 새에게 배우는 진정한 자유입니다. 예수님께서는 공중의 새와 들의 백합화를 보라고 하시며 염려하지 말 것을 가르치셨습니다. 키르케고르는 새들이 염려하지 않는 이유가 그들이 미래를 계획해서가 아니라, 온전히 하나님의 섭리 안에 자신을 맡기기 때문이라고 강조합니다. 새들은 내일을 위한 염려 없이 오늘 하루 하나님이 주시는 양식에 만족하며 살아갑니다. 우리는 선택하는 것을 자유라고 착각하지만, 새는 오직 하나님의 섭리에 자신을 맡김으로써 하나님께 전적으로 순종합니다. 이 전적인 순종을 통해 우리는 불순종한 우리를 끝까지 참고 인내하시는 '인내의 하나님'을 발견하게 되며 , 하나님의 뜻이 이 땅에 이루어지기를 기도하게 됩니다. 또한, 무조건적인 순종 가운데 있는 사람은 사탄의 눈에 숨겨지며, 하나님께서 그를 숨기신다고 키르케고르는 말합니다. 우리의 계획과 통제를 내려놓고 하나님의 주권적인 돌보심에 자신을 맡기는 것이 바로 새들에게서 배우는 진정한 순종입니다.

기쁨: 오늘을 누리는 삶

기쁨은 현존함을 통해 누리는 축복입니다. 들의 백합화는 '수고도 아니하고 길쌈도 아니하며' 오직 하나님의 섭리 안에서 자신을 맡길 때 주어진 선물처럼 아름답게 피어납니다. 키르케고르는 백합에게서
존재 자체의 기쁨을 배우라고 말하며 , 이는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모습 그대로를 받아들이고 그 안에서 감사와 기쁨을 누리는 삶을 의미합니다. 그는 기쁨을 "진리 안에서 현존하는 자기 자신이 되는 것"이라고 정의하며 , 과거에 살거나 미래를 염려하는 대신 '오늘'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내일의 염려는 안개와 같아서 멀리서 보면 두렵지만, 막상 들어가면 실체가 없다고 비유합니다. 믿는 자는 내일을 보는 것이 아니라 내일에서 등을 돌려 '현존하는 오늘'을 살아가야 합니다.
베드로전서 5장 7절 말씀처럼, "너희 염려를 다 주께 맡겨라". 이는 우리의 염려를 투석기처럼 정확히 하나님께 던져버리는 것을 의미하며 , 이처럼 염려를 하나님께 던질 때 그것은 다시 살아날 수 없습니다. 전능하신 하나님이 그 염려를 지고 가시기 때문입니다. 하나님께서 우리를 돌보시며 오늘을 살 수 있도록 힘을 주시는 것이 바로 진정한 기쁨입니다.

결론: 들의 백합과 공중의 새를 보라.

결론적으로, 키르케고르는 "오늘이야말로 우리가 신앙을 실천할 수 있는 유일한 시간"이라고 말하며 , 과거를 후회하거나 미래를 염려하는 데 시간을 낭비하지 말고 , 오늘 주어진 순간에 하나님의 뜻을 구하고 순종하며 기쁨으로 살아가라고 권면합니다. 우리는 염려의 사슬을 끊어낼 강력한 무기인 침묵, 순종, 기쁨을 들의 백합과 공중의 새에게서 배울 수 있습니다. 세상의 요구와 대중의 염려가 아닌 , 침묵 속에서 나의 주인을 분명히 선택하고 , 하나님의 주권에 온전히 순종하며 , 염려를 하나님께 던짐으로 얻는 깊은 기쁨과 만족을 누려야 합니다. 우리의 삶이 염려로 가득 찬 불안한 삶이 아니라,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신뢰하며 날마다 평강과 감사함으로 살아가는 복된 삶, 진정한 자유를 경험하는 삶이 되기를 소망합니다.

소그룹 나눔 질문

주제: 『 염려의 시대를 넘어 침묵, 순종, 기쁨으로 』 (마 6:24-34)

1. 말씀 나누기

설교에서 말하는 현대인의 '염려'에 대한 진단(더 많이 소유하고 성취해야만 안식할 수 있다는 착각, 더 좋은 직장, 학벌, 건강 등에 대한 염려 등)에 대해 공감하는 부분이 있다면 나누어 주세요.
설교에서는 우리가 살아가는 시대를 '소음의 시대'라고 표현했습니다. 스마트폰 알림, 미디어, SNS 등 끊임없는 소음 속에서 우리가 잃어버린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나의 주인은 누구인가?"라는 질문을 오늘 말씀에 비추어 생각해 볼 때, 여러분의 삶의 궁극적인 지향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설교는 공중의 새가 염려하지 않는 이유가 "온전히 하나님의 섭리 안에 자신을 맡기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우리가 미래를 계획하고 준비하는 과정에서 '염려'로 변질되는 지점은 언제라고 생각하나요? 어떻게 하면 새들처럼 하나님께 전적으로 순종하며 신뢰할 수 있을까요?
"너희 염려를 다 주께 맡겨라" (벧전 5:7)는 말씀을 통해, 우리의 염려를 '투석기처럼 정확하게 하나님께 던져야' 다시 살아나지 않는다고 설교에서 언급했습니다. 나의 염려를 구체적으로 하나님께 맡기는 경험이 있다면 나눠봅시다.

2. 삶 나눔

"오늘이야말로 우리가 신앙을 실천할 수 있는 유일한 시간이다" 라는 키르케고르의 말처럼, 오늘 우리의 삶에서 염려를 내려놓고 하나님을 신뢰하기 위해 어떤 결단을 내릴 수 있을까요?